2019. 4. 1. 00:38ㆍ취향수집/다시보기
감사합니다.
정말 영광스럽네요.
후보에 오른 동료들에게도 영광 전해요.
다 아는 사이거든요.
앞으로도 함께 시간 보내요!
올해 여러분들이 해낸 것들, 해온 것들....
우리 모두가 이 무대에 함께 섰어야 해요
그 말을 꼭 하고 싶어요.
진짜 믿을 수가 없네요.
세상에
이 영화 제목이
‘더 와이프(아내)’ 잖아요.
그래서 제작에 14년이나 걸린 거 같아요.
아무튼 이 인물을 연기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엄마 생각이 났어요.
아빠를 위해서
평생 자신을 헌신하셨는데
여든이 넘어서 이렇게 말씀 하시더라고요.
“난 아무 것도 이룬 게 없는 거 같구나”
그건 옳지 못해요.
이런 모든 경험들을 통해 제가 배운 건
우리 여성들이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요구 당하며
살아왔다는 거예요.
운 좋게도 아이가 있거나 남편이 있죠.
아님 애인이 있거나
하지만 우리 자신의 성취를 위해
노력해야 해요!
우리의 꿈을 좇아야 합니다.
그리고 말해야 합니다.
‘나는 할 수 있어!
그리고 당연히 해도 된다고!’
어렸을 때 전, 복서가 될 운명이었던
무하마드 알리처럼
배우가 될 운명을 타고 났다 느꼈죠.
초기 디즈니 영화들과
헤밀리 밀스를 보며 생각했어요.
‘나도 할 수 있을 거야!’
그런데 오늘 여기 서 있네요.
배우로 일한 지 올해 45년이 되는데
이것보다 더 멋진 인생은
상상을 못 하겠어요
Oh my gosh! Thank you so much Hollywood Foreign Press, this is such a great honor.
And I'm so honored to be with my category sisters.
And we've gotten to know each other a little bit so far and I can't wait to spend more time with you.
Everything that you did this year—or, what you're here for—we all should be up here together.
I want to thank Meg Wolitzer for writing this incredible novel and Jane Anderson for adapting it,
Rosalie Swedlin and Claudia Bluemhuber for the passionate—it took 14 years to make this film!
I was attached to it thanks to my wonderful Kevin and Franklin who were behind me and said,
"Yes, this is a great story and we need to stay with it until it happens."
You know, it was called The Wife. I think that's why it took 14 years to get made.
To play a character who is so internal,
I’m thinking of my mom who really sublimated herself to my father her whole life.
And in her 80s she said to me, "I feel like I haven’t accomplished anything."
And it was so not right.
And I feel like what I've learned from this whole experience is,
women, we’re nurturers, that’s what’s expected of us.
We have our children, we have our husbands if we're lucky enough, and our partners.
But we have to find personal fulfillment.
We have to follow our dreams.
We have to say, "I can do that, and I should be allowed to do that."
When I was little I felt like Muhammad Ali, who was destined to be a boxer.
I felt destined to be an actress. I saw the early Disney films and Hayley Mills and I said,
Oh, I can do that! And I’m here today.
It will have been 45 years in September that I am a working actress,
and I cannot imagine a more wonderful life.
Thank you Björn Runge who is here who directed The Wife, who trusted the close up,
who knew where to put the camera and how to light us. Jonathan Pryce, what a great partner.
My daughter Annie who laid the foundation of this character, I love you my darling. Thank you so much.
금년 아카데미 시상식을 운좋게 본방으로 보다가,
모두 이 배우의 여우주연상 불발을 아쉬워하는걸 듣고
어떤 영화인지 검색하다가 같이 올라와 있는 골든글로브 수상소감을 보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영화제의 수상소감을 보는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주어진 짧은 순간안에 개인의 성향을 다양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녀의 수상소감에는 같이 후보에 오른 상대배우들에 대한 존경을 표시함과 동시에
수상에 대한 감사, 그리고 본인의 진심이 담긴 메세지가 차분히 전달되고 있었다.
소감을 통해서
<더 와이프>라는 영화가 타이틀때문에 14년만에 제작된것이 아니냐는 조금 웃프게 상황을 꼬집는 메세지도 좋았지만,
그 누군가의 아내, 엄마를 포함한 모든 여성들을 향한 메세지가 개인적으로 가장 큰 울림이 되었던것 같다.
하지만 우리 자신의 성취를 위해 노력해야 해요!
우리의 꿈을 좇아야 합니다. 그리고 말해야 합니다.
‘나는 할 수 있어!
그리고 당연히 해도 된다고!’
But we have to find personal fulfillment.
We have to follow our dreams.
We have to say, "I can do that, and I should be allowed to do that."
마침 이 수상소감을 보게 되었던 날
일찍 결혼과 출산으로 회사 퇴사 후 집에서 육아를 전담하고 있는
내 꿈 많은 친구의 고민을 듣고 왔기 때문일지도,
혹은 밤이라 내가 더 센치해져서 일지도 모르지만
이 소감은 참 특별했고 그리고 용기가 되었다.
'취향수집 > 다시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 오브 헨리> The Book of Henry 2017 (0) | 2019.06.18 |
---|---|
<해피댄싱> Finding Your Feet 2017 (0) | 2019.06.18 |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그리고 내가 사랑한 (0) | 2019.05.08 |
<어드벤처타임>아빠가 제일 싫어! (0) | 2019.04.01 |
<밤은 짧아,걸어 아가씨야> 2017 (0) | 2019.04.01 |